사업소개

부품가격공개

Trust

부품 유통 구조 개선을 통해 부품 가격을 획기적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입니다.

통합 부품 가격 공개 시스템

자동차관리법 제32조의 2(자기인증을 한 자동차에 대한 사후관리 등)에 근거하여 '14.08.02부터 완성차 업체별로 자동차 부품 가격 공개를 의무화 함에 따라 국내·외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OEM과 대체부품 가격을 비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.

가격 공개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한 기관 역할

국토교통부

  • 가격 공개의 정확한 방법 제시
  • 파일 형태의 자료 취합 및 관리
  • 지속적 모니터링

한국자동차부품협회

  • 가격 공개 자료를 홈페이지 공개
  • 부품 가격 데이터베이스 구축
  • 가격 공개 관련 대국민 홍보

완성차업체

  • 국토교통부 가격 자료 제공(파일 형식)
  • 일정 기간마다 국토교통부에 제출
  • 대국민 홍보

기대효과

소비자 알 권리 개선

완성차업체와 자동차 딜러의 부품 가격 정보 독점 문제를 해소함으로써, 소비자가 부품 가격 정보를 쉽게 확인하고 이를 일반 수리나 보험 수리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. 이를 통해 소비자의 알 권리를 충족하고, OEM 및 애프터 부품 가격을 비교해 자신의 경제적 상황에 맞는 선택을 할 수 있어 소비자 선택권이 보호되며 차량 유지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부품 가격 인하

부품 가격 공개로 가격 비교가 가능해지며, OEM, 애프터, 인증부품의 가격 경쟁이 촉진되어 부품 가격 인하와 자동차 수리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자동차 부품 산업 활성화

부품 가격 공개 제도를 통해 소비자가 OEM, 애프터, 인증부품 가격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, 인지도가 낮은 중소기업들이 가격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안정적인 시장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중소기업 활성화에 기여하며, 수입자동차 부품의 국산화를 촉진하고 부품 제조사의 브랜드 강화를 통해 수입 대체 효과와 수출 증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동차 부품 산업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.

기타

부품 가격 공개 제도는 국내 수리용 자동차 부품 시장의 약 75%를 차지하는 보험업계에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보험사들은 보험 수리용 부품의 정확한 가격을 확인하고, 보험 손해율을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. 또한, 보험료 인하와 수리비 합리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이전
다음